SPA의 약진과 온라인 유통채널 기반 영 브랜드들의 진입가속으로 다소 고전 양상을 보이던 정체 구간을 지난 2018년 지엔코의 경영성과 지표는 지속성장의 정상 궤도로 안착되고 있다. 여성 컴포터블 캐주얼 브랜드 '써스데이아일랜드', 라이프스타일 '코벳블랑', 남성 어반캐주얼 '티아이포맨', 유니섹스 스타일리시 캐주얼 '엘록', 고감도 해외수입 컨셉스토어 '페놈'. 지엔코의 패션 브랜드 포트폴리오는 다양한 영역에 포진되며 상당한 성장 잠재력을 축적하고 있다.

규모 대비 상대적으로 비교적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브랜드 포트포리오의 전개가 가능한 원동력은 잘 정련된 아웃소싱 파트너사의 활용 역량이다. 머천다이징 영역에서 지엔코 본사 기능은 제품의 기획, 외주관리, 품질관리 등 핵심업무 집중되어 있다. 이 같이 잘 조직된 양질의 파트너사와의 긴밀한 협력체계는 이제까지 지엔코의 지속성장을 견인해온 중요한 역량 자산이다. 다만 2018년 지엔코의 영업이익의 달성에도 불구하고 돌출되고 있는 상당한 경상이익의 적자 성격은 100% 브랜드 비즈니스 영업 행위 밖의 영역인 지분법 손실 요인으로 순수 패션 비즈니스 부문 역량 평가에 올바른 해석의 주의가 요청된다.
기획과 디자인 중심의 패션 전문기업 역량과 독특하고 차별화된 브랜드를 기반으로 영캐주얼 패션 부문의 리딩 기업을 추구하는 지엔코의 비전은 다소간의 난관을 도리어 체질 개선의 계기로 돌파하는 성공 DNA의 배경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非패션 부문 출신의 전문 경영자가 선도한다고 선뜻 믿기 어려울 만큼 패션 전문기업 지엔코의 경영 문화 패션 비즈니스 친화적이다. 결국 패션 비즈니스의 영역 또한 기업의 핵심 역량을 꿰뚫는 진지한 숙고와 개방적이고 유연한 활용가능 자산의 최적 조합 역량이 성과를 가늠하게 된다는 점을 반증하고 있다. 이 같은 기업 경영의 투명성과 브랜드 포트폴리오 중심 경영 문화의 일관성은 불가불 많은 부분이 검증되고 제어되는 공개 기업의 환경 조건으로 가능했으리라는 판단이다. 패션 소비시장 전반의 규모 경제 확대에도 불구하고 패션 전문기업들의 기업 공개 비율은 인접 소비산업 군인 뷰티기업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히 낮다. 이 같은 관점에서 공개 기업으로서 보다 투명한 경영 환경이 제어되고 있는 지엔코의 기업환경 조건은 보다 나은 미래 성과를 촉진하는 구조로 기여하리라 확신한다.
취재부
- Copyrights ⓒ 메이비원(주) 패션인사이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