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마’ 캐릭터에서 문화 아이콘으로
가+
가-
카페, 호텔 등 공간 사업을 확대…中 베이징에 정식 1호점 오픈

2015-10-08 오후 2:04:08

문화 아이콘 ‘또마’가 중국시장에 진출한다.



그래피티로 시작된 캐릭터 ‘또마(TTOMA)’가 문화 아이콘으로 거듭나 중국시장에 진출한다.


1997년 프랑스에서 출발한 ‘또마’는 두 명의 창작자로부터 예술활동인 그래피티로 탄생, 파리 퐁피두센터 앞 광장에서 허용된 첫 그래피티였다. 당시 그래피티가 사회적인 골칫거리로 인식돼 있는 프랑스에서 아트로 인정받으며 개인주의가 만연한 유럽사회에서 노랑색 고양이 ‘또마’를 통해 사람들이 함께 이야기하고 웃을 수 있는 매개체가 되었다.


나현정 대표는 ‘또마’가 단순한 캐릭터가 아닌 콘텐츠 사업으로 영역을 넓힐 수 있다는 확장 가능성을 보고, 지난 2013년 ‘또마’의 상표권을 확보해 또마홀딩스를 설립했다. 그간 국내 유명 카페 브랜드의 프랜차이즈 매뉴얼화를 진행해왔던 노하우를 바탕으로 카페, 호텔 등 공간 사업으로의 확장을 시도했다.


한옥마을이 유명한 전북 전주에 있는 ‘또마하우스’는 ‘또마’ 캐릭터 상품을 중심으로 방마다 다른 콘셉을 꾸며 ‘또마’를 활용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고 있다. 100% 예약제로 운영되는 이 곳은 독특하고 확고한 콘셉으로 늘 만실을 이룰 정도로 높은 효율을 자랑하고 있다고.




전북 전주에 있는 '또마하우스'



이에 나 대표는 ‘또마 카페’를 통해 중국시장에 진출할 예정이다. 이미 중국 상하이와 선전에서 로드숍으로 테스트를 거친 ‘또마 카페’는 조만간 베이징 허베이성에서 정식 1호점을 오픈하게 된다.


이 곳은 462.8㎡ 규모로, 커피숍과 멀티숍을 결합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선보여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연말에는 중국의 국영기업인 신다 그룹과 손잡은 멀티브랜드 쇼핑몰 ‘오렌지팩토리’의 F&B 앵커 테넌트로 입점할 계획도 갖고 있다.




복합문화공간 ‘또마 카페’중국에서 제대로 보여줘야죠 "


 나현정 또마홀딩스 대표


(사진=심겨울 기자 sku@)



“‘또마’의 매력은 기존의 어린이들을 위한 캐릭터가 아닌 남녀노소가 좋아할 수 있고, 예술활동으로 시작돼 소통의 매개체로 활용돼 온 히스토리를 갖추고 있다는 것입니다. 진정성이 있는 캐릭터이기 때문에 브랜딩이 가능한 것이죠. 최근 핫하게 떠오른 중국의 커피시장에 진입해 ‘또마 카페’가 무엇이 다른지 보여주고 싶어요.”


나현정 대표가 ‘또마’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그는 또마홀딩스를 설립한 2013년 훨씬 이전부터 ‘또마’ 캐릭터의 가능성을 알아봤다. 자칫 몇 가지 아이템의 상품화로 그칠 수 있는 캐릭터 사업의 한계를 콘텐츠, 공간 비즈니스로 확대시킬 수 있다는 것이 ‘또마’ 캐릭터의 장점이기 때문.


“중국 베이징에 정식으로 선보이게 되는 ‘또마 카페’는 다양한 시도를 접목할 계획입니다. 단순히 커피만 파는 곳이 아닌 ‘또마’를 비롯한 다양한 아이템을 판매하고, 영상을 보여주는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선보이려고 해요. 그동안 프랜차이즈 매뉴얼화를 작업하면서 많은 파트너들을 만났고, 리스크 관리에 대해 경험치가 많은 것이 저희 장점이죠. 중국에서도 마찬가지로 많은 파트너들과 함께 플랫폼을 만들고 동반성장하는 기업이 될 것입니다”



이슬 기자
ls@fi.co.kr

- Copyrights ⓒ 메이비원(주) 패션인사이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한국과 중국 패션&유통 기업의 성장과 성공을 응원합니다
한국 유통시장에 활기를 불어넣는 ‘뉴웨이브’
제 2의 이랜드, 더베이직하우스 꿈꾸는 ‘차이나 드림’
중국 유통 대기업, 한국 패션과 동반 성장 나선다
이랜드, 중국서도 ‘의식주휴미락’ 신화 쓴다
‘루이까또즈’ 프랑스컬처로 중국 소비자 잡는다
‘헤지스’ ‘라푸마’ 중국 시장서도 통했다
‘코오롱스포츠’ ‘슈콤마보니’ 중국서도 잘나간다
토종 SPA ‘탑텐’ 이젠 글로벌이다
젊은 세대 사로잡은 라이징스타 ‘스위브’
동광인터내셔날, 중국 온오프 동시 공략한다
세정, 중국 홍콩 등 중화권 사업 박차
해피랜드, 유아동 신상품 대거 선보인다
“알리바바와 제휴, 해외 진출 첫 걸음이죠”
“탄탄한 소싱력·MD가 핵심 경쟁력입니다”
“디자인은 컨템포러리, 운영은 SPA로 승부”
“소싱력과 트렌드 모두 갖춘 ‘어라운드101’”
“즐거운 ‘작은 사치’를 누릴 수 있는 곳”
“사입형 SPA, 이제는 미래성장 준비합니다”
“중국시장 잡으려면 요우커만 마냥 기다릴 수 없죠”
“한국의 ‘유니클로’ 되는 것이 목표”
“팔아야 하는 상품이 아니라 팔리는 상품으로”
“급변하는 시대, 생존하려면 패러다임부터 새롭게”
“브랜드에 동대문 시스템 접목해 파워 업”
“플랙시블한 브랜드 운영 시스템이 성장배경”
“기획생산과 VMD로 앞서 나갑니다”
“‘K-뷰티 후즈 넥스트’는 ‘더프트앤도프트’죠”
한국 패션, CYB서 미래성장 설계한다
‘CYB’ 통해 중국시장 노크하는 한국 브랜드
슈즈 SPA 브랜드로 중국 소비자 사로잡는다
‘DDM스퀘어’, 동대문 브랜드 중국 진출 지원
한국소재, 중국 메이저 기업과 손잡는다
신흥, 울 라이크한 재킷용 소재 선보여
KOTITI, 해외서도 시험검사 지원 확대
섬유수조, 패션소재 DB 구축 마케팅 지원
화섬협, 국내 우수 원사 중국에 선보여
메이비원(주) | 대표:황상윤 | 개인정보보호책임자:신경식
사업자등록번호:206-81-18067  | 통신판매업신고:제2016-서울강서-0922호
TEL 02)3446-7188  |  Email : info@fi.co.kr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 1길 6 (마곡동 790-8) 메이비원빌딩
Copyright 2001 FashionInsight co,.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