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인동에프엔
가+
가-
여성복 시장의 새로운 방향 제시

2013-12-20 오후 5:56:35

우리나라 패션시장 여성복 부문시장 규모의 최근 3개년 CAGR이 2%인데 비해, 여성복 전문 패션기업 인동에프엔의 동지표는 23%이다.


기업경영 관련 경구 중에 ‘사양 산업은 있어도 사양 기업은 없다’라는 말이 실감나는 대목이다. 여성복 브랜드만의 구성으로 모두가 고개를 가로젓는 어려운 여건에서도 꿋꿋하게 성장의 속도를 유지하고 있다. 나아가 크기의 차원에 그치지 않고 재고자산회전율 및 영업이익율 등 내용 지표면에서도 비교적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50대 선도 패션기업에 이름을 올릴 자격이 충분해 보인다.


흔히 얘기하는 Cannibalization의 우려 개연성이 짙은 비교적 인접 시장에 위치하면서 ‘쉬즈미스’, ‘리스트’ 등 개별 브랜드 차원 역시 고른 성장과 기여역량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더욱 주목된다. 이러한 점에서 확실히 인동에프엔의 패션 시장과 고객에 대한 시각은 유사한 복수의 브랜드를 보유한 패션 기업들에서 나타나는 내부경쟁 지향적인 협소함의 굴레에서 벗어나 있는 것 같다.


이같이 선전할 수 있는 것은 안정된 소싱력을 기반으로 한 대물량 정책 때문이다. 인동에프엔은 생산 기반을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옮겨 단가를 낮췄다. 덕분에 소비자가는 기존 여성복보다 30~40% 낮췄지만 이익은 오히려 늘었다. 또 매 시즌 내놓은 대물량 선기획 전략 아이템은 높은 소진율을 자랑한다.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메가숍 전략도 눈에 띈다. 올해 ‘쉬즈미스’는 서울 교대 인근, ‘리스트는 ‘대치점’에 대형 점포를 열어 의류와 가방, 신발, 주얼리 등 다양한 아이템군을 선보였다. 기존 66㎡규모의 공간에서는 소비자에게 다양한 상품도, 재미도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 것. 인동에프엔은 내년 롯데가 개발중인 C2와 타임스퀘어 등에도 대형 점포를 오픈하는 등 중대형 직영점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Copyrights ⓒ 메이비원(주) 패션인사이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한국 패션시장 변화 주도할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
F-MPI 지표의 의미와 구조
우량 패션기업의 조건
Marketability_ 기업의 마켓파워
Profitability_ 기업의 영속자원
Immunity_ 기업의 안전판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삼성에버랜드 패션부문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LG패션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케이투코리아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블랙야크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영원아웃도어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네파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성주디앤디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태진인터내셔날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지엔코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제이앤지코리아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데상트코리아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세정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한섬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대현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신원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참존어패럴
지속성장 50대 패션기업_로만손
메이비원(주) | 대표:황상윤 | 개인정보보호책임자:신경식
사업자등록번호:206-81-18067  | 통신판매업신고:제2016-서울강서-0922호
TEL 02)3446-7188  |  Email : info@fi.co.kr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 1길 6 (마곡동 790-8) 메이비원빌딩
Copyright 2001 FashionInsight co,.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