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튜브가 대세다. 10대 학생부터 50대 아저씨까지 하나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이젠 포털사이트가 아닌 유튜브를 찾는다.
패션 브랜드들도 너도나도 유튜브 콘텐츠 기획에 뛰어들고 있다. 하지만 소위 떡상(급격하게 상승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인터넷 용어)하는 유튜브 콘텐츠는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아야 한다. 김대익 그럼에도 대표는 이러한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갖춰야 될 요인들이 분명히 존재한다고 강조한다.
김 대표가 첫번째로 강조한 것은 바로 브랜드의 콘셉이다. 콘셉에 따라 콘텐츠 기획의 방향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는 "인기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구독하는 이들은 10~20대가 대다수다. 이들을 타겟팅하고 있는 브랜드는 스트리트 캐주얼, 중저가 SPA 등이다. 하이엔드나 럭셔리는 인스타그램 피드로 감성을 보여주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두번째는 영상 내에서 높은 품질을 보여줄 수 있어야한다는 것이다. 자사몰이나 플랫폼에서 보여지는 이미지와 함께 쓰여지는 제품 상세페이지를 자세히 읽어보는 소비자들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영상 속에 나오는 크리에이터 또는 MC가 제품에 대해 설명하면 일단 소비자들은 관심을 갖는다. 이 관심을 확신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간단하고 명확하게 제품의 장점을 설명해야 한다. 어떻게 핏이 떨어지는지, 어떤 소재를 사용했고 착용감은 어떤지 등을 전달해주는 것이 좋다"
마지막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직접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라고 강조한다. 직접 채널을 운영해 브랜드를 크리에이터만큼의 영향력을 갖게끔 하라는 말이다.
그는 "유튜브는 아직까지 직접적인 커머스보다 파급력 높은 마케팅 채널로 바라보는 것이 맞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체 콘텐츠를 아카이빙해야만 채널이 파급력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크리에이터와 협업, 자체적으로 기획한 콘텐츠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기획하고 조회수가 높은 콘텐츠는 시리즈로 가야 한다. 또한 이 콘텐츠도 결국 구독자들이 실증을 느끼기 마련이기 때문에 새로운 것들을 꾸준히 기획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서재필 기자
sjp@fi.co.kr
- Copyrights ⓒ 메이비원(주) 패션인사이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