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색 산업 부흥책 만들어야
가+
가-
대구·부산, 개별 소비세 부과 위기는 벗어나

2014-02-20 오후 6:33:51


 


염색 산업이 오더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대구·부산 열병합 발전소에 부과된 개별 소비세를 관련 단체와 업계가 공동으로 대처해 부과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성과를 이끌어내 화제다. 이를 계기로 염색 산업 부흥책 만들기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11월 19일 전기 요금과 에너지 세율 조정을 통한 에너지 가격 합리화 정책을 발표했다. 발전용 유연탄을 개별 소비세 과세 대상에 추가하고 LNG·등유 등에 대해서는 개별 소비세를 인하한다는 것.


단 철강·시멘트 제조에 사용되는 유연탄은 산업 경쟁력 약화 가능성을 감안, 산업용으로 분류해 과세 대상에서 제외키로 했다. 이 법안은 1월 1일 국회를 통과해 7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다.


이 법안이 그대로 시행될 경우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이사장 정명필)과 부산패션칼라산업협동조합(이사장 백성기) 열병합 발전소는 집단 에너지 사업자로 분류되어 과세 대상에 포함되면서 전체 영업 이익의 56%인 연간 150억원(대구 126개사 100억원, 부산 60개사 50억원) 이상의 세금을 영세한 중소 염색 업체들이 부담해야 하는 위기에 놓였던 것이다.


 


노희찬 회장 김해수 회장


이에 대구 공단과 부산 조합은 해당 지방 자치 단체에 호소하는 한편 한국패션칼라산업협동조합연합회(회장 김해수)는 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노희찬)와 공동으로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에 끈질긴 건의와 협의를 거쳐 최근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는 성과를 거뒀다는 것.


이에 업계 관계자는 “이번 개별 소비세 부과 면제는 공동의 노력으로 일구어낸 의미있는 성과다. 이에 앞장선 섬산련과 염색연 등이 갈채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제 염색 업계는 수년간 제자리 걸음하고 있는 염가공료로 인한 2%대의 낮은 영업 이익율, 오더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현실을 공동의 노력으로 타개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서 의류 벤더들이 자체 염색 시설을 갖추고 있고 국내 패션 시장에서 SPA 브랜드가 트렌드로 자리잡는 상황에서는 당장 고부가가치 염색으로 가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번의 성과를 거울 삼아 단체들이 앞장 서 중장기적인 염색 산업 부흥책을 수립하기 위한 태스크포스팀을 다시금 가동해 주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김경환 기자
nwk@fi.co.kr

- Copyrights ⓒ 메이비원(주) 패션인사이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메이비원(주) | 대표:황상윤 | 개인정보보호책임자:신경식
사업자등록번호:206-81-18067  | 통신판매업신고:제2016-서울강서-0922호
TEL 02)3446-7188  |  Email : info@fi.co.kr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 1길 6 (마곡동 790-8) 메이비원빌딩
Copyright 2001 FashionInsight co,.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