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는 사전 계획을 탄탄하게 세운다
가+
가-
리테일 시대의 ‘점장학 개론’ 18

2014-03-20 오후 3:39:12


 



이걸 어쩌나?


오늘은 휴무! 미뤄왔던 강아지 집 짓는 날이다. 맹점장은 아들과 함께 강아지 집을 지으려고 나무 판자, 톱과 못, 망치도 준비했다.


이제 뚝딱뚝딱 만들기만 하면 되는데… 뭐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이 모습을 보고 있던 부인이 묻는다. “어느 정도 크기로 만들거죠? 어떤 모양으로 만들건데요? 설계도 없어요?” 설계도…? 그게 필요한가…?


오늘 안에 강아지는 집을 가질 수 있을까? 이 강아지는 어쩐단 말인가?



개집을 짓든, 이벤트를 하든 설계도는 필요해요. 이벤트의 경우엔 계획서가 되겠네요. 원하는 효과를 얻으려면 먼저 꼼꼼하게 계획을 세워야 하잖아요. 우리 계획 세우는 것 해봤죠? 연매출목표, 목표달성전략 등등.


이번에는 성공적인 이벤트를 위한 계획을 세워봅시다.


 


1) 매출 목표를 정한다.


월목표매출 중 어느 정도를 이벤트로 확보할 것인지를 정해보죠. 매장의 성격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20% 정도라면 이벤트 효과가 있었다고 말할 수 있어요. 여기서는 2000만원으로 해볼까요?



2) 객단가 목표를 정한다.


할인 이벤트라면 할인율이 당근 중요해요. 고객이 좋은 혜택이라고 느낄 수 있고 매장도 이득을 볼 수 있는 선을 정해야 하는데 여기서는 30% 할인이라고 정해보죠.


평균 단가가 12만원인 경우 할인 후에는 (12만원의 70%) 8만4000원이 되겠네요.


한 고객에게 2.5개를 팔겠다는 목표를 세우면 객단가는 21만원이 되겠죠. (8만4000원 X 2.5개)


전 사원의 코디네이트 실력이 발휘되어야 성공할 수 있는 목표군요. ^ ^



3) 방문 고객수 목표를 정하자.


이 계획에서는 목표 매출을 2000만원, 평균 객단가 21만원으로 정했기 때문에 약100명의 고객이 구매를 해야 하겠죠. 방문 고객 전원이 구매하는 것이 아니니 구매율을 60%로 하면 167 명 정도의 고객이 방문을 해야 하겠네요.


마찬가지로 이벤트 안내를 받은 고객이 모두 방문을 하는 것이 아니니까, 25% 정도가 방문을 한다고 하면 적어도668명 이상에게 안내를 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오네요. 와~ 많다… ^ ^;;


그렇다고 포기할 순 없죠! 힘내시고요, 계획의 마지막 단계, 경비를 계산해보고 이익을 남길 수 있는지 체크해보는 단계로 넘어가자고요~



유통아웃소싱전문 ARIO

- Copyrights ⓒ 메이비원(주) 패션인사이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메이비원(주) | 대표:황상윤 | 개인정보보호책임자:신경식
사업자등록번호:206-81-18067  | 통신판매업신고:제2016-서울강서-0922호
TEL 02)3446-7188  |  Email : info@fi.co.kr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 1길 6 (마곡동 790-8) 메이비원빌딩
Copyright 2001 FashionInsight co,.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