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히딩크 게임의 지배
●이동현·김화성 지음
1. 어제는 잊고 새 틀을 짜라
토털 사커 시스템의 결정체인 선진 축구 포메이션은 4-4-2다. 히딩크는 기존 한국팀이 고집했던 대인방어를 근간으로 하는 3-5-2 전형을 지역방어 위주의 4-4-2 전형으로 바꾸어 나갔다. 그러나 선수들이 4-4-2 시스템이란 신기술에 쉽게 적응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때부터 히딩크는 한국 축구의 실정에 맞도록 전형을 적절하게 바꾸는 유연성을 발휘했다. 월드컵을 앞둔 평가전부터는 3-5-2에서 4-3-3, 4-4-2 등 다양한 전형 변화가 이뤄졌다. 빗장 수비로 유명한 이탈리아만 구사하는 3-4-1-2란 전형을 시도하기도 했다. 여기서 히딩크가 돋보이는 점은 선진 시스템을 그대로 고집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선진 축구 기술을 한국팀의 장점과 접목시켜 새롭게 활용하는 벤치마킹 전략을 구사했다.
경영혁신 기법 중에 벤치마킹(benchmarking)이라는 것이 있다. 남보다 우수한 경영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회사의 우수한 실무를 찾아내서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벤치마킹은 단순한 모방을 의미하지 않는다. 우수한 성과를 내는 기업의 성공 요인을 잘 파악해서 자신의 회사 실정에 맞게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진 기법도 기업 실정에 맞게 수정, 접목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아무리 한국팀이 4-4-2 전형을 그대로 도입했다고 해서 갑자기 일류 팀이 되지 않는 것과 같다. 한국의 많은 기업들이 지금도 이런 실수를 반복하고 있다. 여기서 벗어나는 길은 기계적인 모방이 아니라 창조적인 모방이다. 히딩크가 4-4-2 전형을 한국팀의 실정과 상대팀의 상황에 맞게 적절히 변형시켜 성공한 것을 떠올려 보라.
2. 중요한 것에 집중하라
히딩크가 말하는 ‘토털 사커’를 완벽하게 구현하려면 개인기가 받쳐줘야 한다. 하지만 개인기만이 전부는 아니다. 사실상 토털 사커의 핵심은 개인기가 아니라 팀워크다. 게다가 한국 선수들은 스피드가 좋다. 강한 체력과 스피드에 역량을 집중해 본다면 해볼 만한 것이다. 흔히 히딩크가 강한 체력을 강조하며 체력 강화 프로그램을 시행한 것을 두고 축구의 기본을 충실히 다졌다고 해석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더 큰 전략적 판단이 숨어 있다. 압박 축구를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체력이 필수 조건이었던 것이다. 체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대방을 충분히 압박할 수 없고, 최전방 공격라인과 최종 수비라인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상대에게 쉽게 역습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핵심 역량 선택에서 한 가지 주의할 점은 핵심 역량이 아닌 이른바 비(非)핵심 역량에 대한 조치를 제대로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의 투자 자원이 한정된 상태에서 이를 핵심 역량에 집중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축구에서도 한 팀이 모든 방면에서 다 잘 할 수는 없듯 경영에서도 한 기업이 모든 일을 잘 할 수는 없는 일이다. 가장 강점으로 키울 수 있는 부분을 선택하고 나머지는 과감히 포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품 개발과 마케팅의 강점을 살리고 생산 부분은 과감히 아웃소싱한 나이키다.
나이키는 자체 생산 공정이 없다. 나이키의 창업자인 필 나이트가 제품생산은 나이키의 핵심 역량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과감하게 아웃소싱한 결과다. 결국 나이키 제품은 각국의 협력회사에서 OEM(주문자 상표) 방식으로 생산, 공급받고 있다. 대신 나이키는 과학적인 상품 개발과 디자인, 광고 및 판촉 활동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마케팅의 경우 여러 마케팅 기법 중에서도 나이키는 전통적으로 최고의 인기스타 한 명을 택해 화려한 ‘스타 마케팅’을 펼치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나이키는 1996년 우즈와 5년간 4,000만 달러라는 천문학적 액수로 계약했으며, 지난 해에는 1억 달러에 재계약을 하기도 했다. 그 결과 골프볼의 경우 우즈가 나이키 제품을 쓰면서 세계 시장점유율이 무려 4배나 높아졌다. 현재 나이키는 골프 어패럴 시장에서 1위, 골프신발 시장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3. 강력한 혁신팀을 꾸려라
히딩크는 자신이 요구하는 지원에 대해 모든 것을 헌신적으로 뒷바라지해 달라고 했다. 히딩크는 계약서를 바탕으로 협회나 외부의 입김에 좌우되지 않고 자신의 축구 철학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장기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
축구협회로부터 대표팀 구성과 운영에 대한 전권을 위임받자마자 그는 그와 함께 오랫동안 유럽 무대에서 활동해온 전문 스태프를 데려왔다. 한국 축구의 변화를 주도적으로 담당할 히딩크 감독과 그가 구성한 코칭 스태프는 강력한 지도부가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기반인 전문성 확보 차원에서 보면 매우 성공적인 일이었다. 이러한 지도부의 정점에는 전문성으로 뭉쳐진 팀을 조율하여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핸들을 쥐고 있는 히딩크 감독이 있었다.
1999년 프랑스 르노에서 닛산
- Copyrights ⓒ 메이비원(주) 패션인사이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