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습관이 새 옷 판매 대체
가+
가-
의류 제품을 5번 수선할 때마다 4개의 새로운 제품을 대체

2025-03-05 오전 9:40:40

Image



최근 몇 년 동안 소매업체와 브랜드들이 수선 및 재판매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으며, 환경 자선 단체인 WRAP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수선이 새 의류 품목을 ‘대체’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등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선 및 재판매 사업체 및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작성된 '디스플레이스먼트 레이트 언탱글드(Displacement Rates Untangled )보고서는 “사람들이 의류 제품을 5번 수선할 때마다 4개의 새로운 제품을 대체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디팝(Depop), 이베이(eBay), 피니스트레(Finisterre) 등과 긴밀하게 협력한 결과, 평균 수선 이탈률은 82.2%, 재판매 이탈률은 64.6%로 높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미국, 중국, 인도에 이어 의류 소비가 네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판매는 재활용 과정의 핵심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단순히 가지고 있는 것을 수선하는 것만이 문제가 아니다. 새 제품을 구매하는 대신 중고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대체로 간주된다.


이 보고서는 수선을 선택하거나 중고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환경에 미치는 이점을 산출했다. 예를 들어, 새 청바지 대신 중고 청바지를 구매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CO2e)이 30kg 이상 감소한다. 면 소재 티셔츠 한 장의 경우, 약 7.5 CO2e가 절감된다.


이것을 뒷받침하는 사례 연구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베스티에르 콜렉티브(Vestiare Collective), 이베이, 디팝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피어 투 피어(P2P) 인터넷 재판매를 살펴봤다. 앞서 언급한 64.6%의 대체율을 검증하기 위해 2024년 마지막 4개월 동안 7,000건 이상의 설문조사 응답을 기반으로 한다.


소조(Sojo), 더씸(The Seam), 피니스트레(Finisterre)의 정보를 사용한 또 다른 사례 연구는 82.2%의 수선 교체율을 검증하기 위해 700개 이상의 설문 조사 응답을 조사했다.


WRAP의 CEO인 헤리엇 램(Harriet Lamb)은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중고 의류를 구매하는 것은 우리가 새로운 것을 원한다는 욕구를 충족시켜 줄 뿐 아니라, 우리가 너무 많은 새 제품을 구매하지 않게 해준다. 게다가, 우리는 이제 최초로 수선 등 다양한 순환 비즈니스 모델의 환경적 효과를 명확하고 일관성 있게 측정할 수 있게 됐다. 나는 기업들이 이 새로운 기술을 채택하기를 권장한다. 고객들은 수선이나 임대와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기업들에게 기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 보고서는 재판매와 수선을 측정하는 새로운 표준화된 방식 채택을 기업들에게 촉구하고 있으며, 보고서에서 사용된 동일한 방법을 영국 안팎의 재유통과 렌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재부 패션 에디터
UB@fi.co.kr

- Copyrights ⓒ 메이비원(주) 패션인사이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메이비원(주) | 대표:황상윤 | 개인정보보호책임자:신경식
사업자등록번호:206-81-18067  | 통신판매업신고:제2016-서울강서-0922호
TEL 02)3446-7188  |  Email : info@fi.co.kr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 1길 6 (마곡동 790-8) 메이비원빌딩
Copyright 2001 FashionInsight co,.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