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희 스튜어트 상무
가+
가-
‘앤더슨벨’은 ‘옳은 방향’으로 간다

2018-06-07 오전 9:05:52

스튜어트(대표 김현지)의 ‘앤더슨벨’은 국내외 바이어들의 바잉 1순위 브랜드로 손꼽힌다. 현재 ‘앤더슨벨’은 도산공원 플래그십 스토어를 제외한 모든 오프라인 유통을 홀세일 비즈니스로 전개 중이다. 유통사의 입장에게는 부담스런 홀세일이지만 ‘앤더슨벨’에게는 먼 이야기다. 어라운드더코너, 바인드, 플라이투유, 프리페어 등을 비롯한 20여 개 딜러숍이 매 시즌 1억원을 호가하는 물량을 사입하고 있고, 중국 시장은 연 20억원을 수주한다. 특히 중국의 대형 바이어 한 곳이 연 10억원 예산을 ‘앤더슨벨’ 바잉에 투자하고 있을 정도다.

무엇이 ‘앤더슨벨’을 ‘바이어가 사지 않고는 못 배기는 브랜드’로 만들었을까. 최정희 스튜어트 상무는 “옳은 방향으로 갔을 뿐”이라고 말했다.



 
Q. ‘앤더슨벨’에게 홀세일이란
A. 홀세일이란 브랜드에 대한 애정과 관심, 그리고 자신감이다. 함께할 리테일러를 선택할 때도 이 점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리테일러로서 입점 브랜드를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는지, 사입으로 리스크를 함께 공유해 판매에 자신감을 드러내는지 등이다.


Q. 홀세일의 장점은?
A. 모든 바이어와 홀세일로 거래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의 문제가 줄어든다. 홀세일 브랜드와 리테일기간 업무 분장이 명확해진다. 홀세일 자체가 직판, 온라인 판매에 비해 수익률이 높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확장성은 매우 높다. 우리는 어라운드더코너, 바인드와 같은 숍 하나와 거래해도 그들이 가진 수십 개 유통망을 보유하게 된다.


Q. 브랜드와 리테일러간 역할 분담은 어때야 할까
A. 홀세일은 시대의 흐름이다. 과거에 비해 유통 채널은 굉장히 다양해졌다. 이제 유통사들이 좋은 브랜드를 찾기 위해 노력하는 시대다. 그만큼 브랜드의 가치를 인정하는 시대고 브랜드의 힘이 강해지고 있다는 의미다. 리테일러들이 처음부터 물량을 사입해 브랜드를 동등한 관계에서 파트너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홀세일은 자신이 얼마나 가치있는 리테일러인지를 말해주는 척도 같은 거다. 그만큼 브랜드는 상품성을, 리테일러는 영업력을 키워 판매적중률을 높이는 것이 옳은 방향이다. 그리고 실패에서도 배워야 한다.


Q. 브랜드 가치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A. ‘앤더슨벨’은 항상 글로벌 브랜드를 향해 나아갔다. 글로벌 브랜드에 맞는 브랜딩 작업은 누가 뭐래도 ‘앤더슨벨’의 자산이다. 유럽 유명 디자이너와 브랜드 로고를 리뉴얼했고, ‘구치’ 등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의 대표 모델들과 룩북을 촬영한다. 모든 이미지는 해외 로케이션이고 국내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글로벌 아티스트들과 협업했다. 이곳 도산공원 플래그십 스토어도 그 일환이었다. 스트리트와 컨템포러리를 아우르는 디자인, 수천장을 만들어도 모두 품질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생산처 등 브랜드의 시스템에도 끊임없이 투자했다. 지금의 ‘앤더슨벨’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다.


Q. 함께 하는 리테일러에게 꼭 이야기하는 것이 있다면
A. 바이어들에게 ‘앤더슨벨’의 이미지를 마음껏 활용해달라고 이야기한다. 그래서 ‘앤더슨벨’이 유통되는 온라인몰과 오프라인숍의 전사 이미지는 우리 이미지가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바이어에게 물어보면 판매가 잘되는 브랜드이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룩북 촬영에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면서 높은 퀄리티의 이미지를 만들어냈기 때문이 더 큰 이유다.



강경주 기자
kkj@fi.co.kr

- Copyrights ⓒ 메이비원(주) 패션인사이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대기업, ‘패션한류’ 팔걷어 붙였다
‘진짜’ 리테일러로 진화 중인 대기업 편집숍
변화된 시장에 올라 탈 새로운 채널과 플랫폼
<홍석우의 보이후드> 글로벌 시대, 한국 홀세일 브랜드의 경쟁력과 과제
리테일 시대 핵심 콘텐츠? ‘성공하는 홀세일 브랜드’
강민주 삼성물산 패션부문 ‘비이커’ CD
노정호 소후드 대표
안정우 에비나 대표 & 고영지 실장
파워 홀세일 브랜드, 시장의 판도를 바꾸다
슈즈 마켓 변화 주도하는 ‘파워 홀세일 브랜드’
차별화 콘텐츠로 승부하는 ‘슈즈 편집숍’
‘노나곤’ 해외 리테일러가 먼저 인정
글로벌 130여 편집숍이 ‘준지’의 바이어
B2C로 쌓은 아이덴티티, 글로벌 비즈 성공 열쇠로
'난닝구', 中 직구몰 선두, 공급경쟁력 제고로 홀세일 성장 기대
배럴즈, 히트 콘텐츠 제조기로 우뚝
‘첨스’ 일본 찍고 국내 시장에서 상승세
오리지널 워크웨어 ‘칼하트’가 왔다
국내 대표 아메카지? ‘유니폼브릿지’
‘씨루틴’ 모자, 중국 홀세일 마켓서 通했다
블레스앤코, 매장별 커스터마이징으로 효과 뿜뿜
‘길단’ 무지 티셔츠로 국내 소비자 사로잡아
‘닥터마틴’에 불황은 없다
리테일로 브랜딩, 홀세일로 지속성장 인프라 구축
‘아바몰리’, 최고 소재와 최신 트렌드, 홀세일 Biz 기대주
‘스테레오바이널즈’, 리테일러 선정 ‘킬러 콘텐츠’로
키즈까지 사로잡은 ‘블루마운틴’ 열풍…‘블마랑키즈’로
‘랭앤루’, 유니크한 디자인으로 B2B2C 순항
‘샐러드볼’, 해외 홀세일 2배 키운다
중국 홀세일 시장 개척하는 CYB
로얄, ‘마이크로 매니지먼트’가 성공의 힘
이재수 동광인터내셔날 대표
최선미 지티에스글로벌 대표
신찬호 레이어 대표
동대문 인프라, 글로벌 브랜드로 꽃 피운다
이옥선 투데이브랜드 대표
김현정 토핏 디렉터
곽영주 리쥬네브 대표
이혜연 르이엘 대표
최충훈 두칸 대표
곽창훈 앨리스마샤 대표
리테일 Biz 핵심은 ‘관계성’과 ‘지속성’
메이비원(주) | 대표:황상윤 | 개인정보보호책임자:신경식
사업자등록번호:206-81-18067  | 통신판매업신고:제2016-서울강서-0922호
TEL 02)3446-7188  |  Email : info@fi.co.kr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 1길 6 (마곡동 790-8) 메이비원빌딩
Copyright 2001 FashionInsight co,.Ltd.